top of page

​해외 집단 이주화
Diasporization

 모빌리티 패러다임 안에서 '해외 집단 이주화'는 세계화에 따른 역동적인 사회의 변화를 가속화 시킨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거 문화, 사회 구조, 노동과 삶에 관련하여 공간적으로 더욱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해외 이주자들이 항상 가지고 다니는 캐리어는 그들의 이동 중에 있는 삶의 요소입니다. 그러므로 캐리어는 물건을 담고 이동하는 기능을 넘어 다양한 가구적 기능으로, 더 나아가 건축적 요소로 변화할 수 있는 모빌리티적 요소입니다. 저는 캐리어가 사용하는 사람, 주변 상황과 함께 상호작용하며 가구와 건축의 경계를 넘나드는 "Furnitural Architecture"를 제안합니다. 

 In the mobility paradigm, the modern 'diasporization' is a concept that accelerates the change of a dynamic society with globalization. In relation to residential culture, social structure, work and life, space is required to have more active mobility and functional diversity. Carrier is with foreign migrant on their journey. Carrier is the element of their lives on the move. Therefore, the carrier is a mobility element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furniture functions and architectural elements. I propose the "Furnitural Architecture"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furniture and architecture by interacting with the people and surroundings.

가구적 건축 "캐리어 아키텍처"
CARRIER ARCHITECTURE

정송, Song Jeong
@singsaengsong.e

2019-2021

프로필 사진.jpg
해외 집단 이주화

​한국으로의 이주민
Immigrants to Korea

 이동 수단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같은 시간에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결과 해외 집단 이주화라는 초국가적 이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에서 가장 많은 해외 이주자들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1980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국 개혁개방 및 한중수교 이후 중국동포들이 한국으로 이주하고 있습니다.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has allowed people to travel longer distance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a national move-ment called “Diasporization” occurred. Currently, the largest number of foreign migrants reside in the United States. In Korea from 1980 to the present, Korean-Chinese have migrated to Korea.

중국동포들의 이주
Migration of Korean-Chinese

 한국과 중국의 경제 소득 차이는 중국동포들이 ‘코리언 드림’을 갖고 한국으로의 이주를 꿈꾸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019년 기준으로 중국의 최저 월급은 약 42만원, 한국의 최저 월급은 약 180만원으로 4배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그들이 이동하는 이유는 충분합니다. 한국으로 온 중국동포들의 남성은 대부분 기타 단순 노무직에 종사합니다. 그리고 여성은 서비스직인 식당 종업원이 많고 다음으로 기타 단순 노무직이 많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일을 하기 위해서 그들에게 비자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비자는 그들을 나타내는 사회적 신분이며, 그들의 원하는 일에 따라 비자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The difference in economic income between Korea and China is the reason why Korean-Chinese people with the “Korean dream” come to Korea. In 2019, the minimum wage in Korea (1.8 million won) is more than four times the minimum wage in China (420,000 won). Therefore, their reason for moving is sufficient. Most Korean-Chinese men who came to Korea are engaged in other simple labor jobs. And in the case of women, the majority of restaurant workers are service workers, followed by other simple labor jobs.

 And in order to work, visas are very important to them. A visa is a social status that represents them, and the visa may vary depending on what they want to do.

한국으로의 이주민
중국동포들의 이주

가리봉동과 벌집
Garibong-dong and Hive house

 ‘벌집’이라 불리는 저렴한 단기 임대 주택들이 많은 가리봉동은 중국동포들이 한국으로의 이주를 시작하는 첫 지역입니다. 두 달이라는 짧은 계약기간을 가지는 곳도 있으므로, 단기간 머무르고 초기 자본이 없는 그들에게는 제일 나은 선택입니다. 벌집은 과거 구로공단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나 건축가가 아닌 민간 주도로 만들어졌습니다. 1984년 다세대주택 제도의 정립 이후 벌집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고 현재까지 존재하고 있습니다. 가리봉동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중국동포들에게 적은 비용으로 거처를 마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Garibong-dong, where are many short-term rental houses called ‘Hive house’, is the first area for the Korean-Chinese to move to Korea. Some have a short contract period of two months, so it’s the best option for those who stay short and don’t have initial capital. The Hive house was built by residents to accommodate workers working at the Guro Industrial Complex in the pas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ulti-family housing system in 1984, the number of hive house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It provides a low-cost residential environment for Korean-Chinese.

가리봉동과 벌집
전단지

전단지
Leaflet

 손으로 쓰인 전단지는 컴퓨터에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가리봉동을 직접 걸어야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전단지는 정보를 담고 있는 요소로써 그 지역이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가리봉동의 전단지는 직접 하나씩 찾아야 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전단지의 흐름은 중국동포들의 이동의 흐름과 같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Hand-Written leaflets that are not recorded on a computer are invisible network that can only be found by hanging directly in Garibong-dong. It is the element that holds the information, and you can see what the region needs.

월세 전단지
Monthly rent leaflet

 중국동포들은 복비를 절약하는 동시에 단순관광비자(C-38)를 가진 이들도 방을 계약하기 위해서 월세 거래를 부동산이 아닌 집주인과 직접 계약합니다. 즉, 월세 전단지는 중국동포를 가리봉동으로 유입시킵니다. 전단지가 주로 발견되는 길은 가리봉동의 일상생활 공간으로써 주민들의 이동량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길은 자동차가 다니지 못하고 상업가로도 아니고 주변 건물의 밀도도 높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도시와 건축의 요소로는 이 길을 설명하기 어렵지만, 전단지는 가리봉동의 도시와 건축의 요소가 됩니다.

 The Korean-Chinese contract the room directly with the landlord, not with real estate. This is because the Korean-Chinese can save money and even those with a simple tourist visa(C-38) can sign contract. Monthly rent leaflet brings Korean-Chinese to Garibong-dong. The street where leaflets are mainly found is daily living space in Garibong-dong, where residents move a lot. Typical urban and architectural elements make it difficult to describe this street.

구인 전단지
Job offer leaflet

 중국동포들의 일자리는 다른 지역이나 인터넷에서 쉽게 구할 수 없어서, 가리봉동의 구인 전단지를 찾아야만 합니다. 전단지는 목수, 청소, 간병과 같은 일용직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법적으로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없는 단순관광비자(C-38) 또한 일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구인 전단지는 일자리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중국동포를 다시 퍼트립니다. 그리고 가리봉동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지점과 상업 가로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The Korean-Chinese can't easily find jobs elsewhere or on the internet, so they have to look for job offer leaflet in Garibong-dong, In particular, simple tourist visa(C-38) that are legally unable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can also be employed. It spreads the Korean-Chinese in again by job information. AndIt is found on public transportation points and commercial streets in Garibong-dong.

캐리어
Carrier to enable movement

 중국동포들이 이동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캐리어를 발견했습니다. 집에서는 옷을 보관하고, 일을 가기 위해 공구 박스로 사용하고, 길에서 잠시 시간을 보낼 땐 의자로도 사용됩니다. 중국동포들에게 캐리어는 물리적인 사람을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장치입니다. 필요에 따라 변화하고 머물다 떠나는 모습은 마치 중국동포들의 이미지를 대변합니다.

 The carrier is always with the movement of the Korean-Chinese. Carrier stores clothes at home, uses as toolboxes to get to work, and also as chairs when they spend some time on the road. For the Korean-Chinese, a carrier is a device that enables physical movement. It is the image of the Korean-Chinese that changes according to need.

캐리어

디자인 도구 "캐리어"
Design tool "Carrier"

 캐리어를 디자인 툴로 이용하기 위해서 어떤 행위를 할 수 있는지 실험해 보았습니다. 올라갈 수 있고(Up) 확장가능하고(Expand) 돌릴 수 있고(Pivot) 접을 수 있고(Fold) 기댈 수 있고(Lean) 기대어 올릴 수 있고(Lean/Up) 밀수 있고(Slide) 끌 수 있는(Wheel) 총 8가지의 행위가 가능합니다.

 캐리어는 버튼, 핸들, 길이 조절, 잠금장치, 프레임, 바퀴, 커버, 지퍼, 이음 실과 같이 총 9가지의 주요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캐리어는 펼쳐서(Folding) 물건을 담고 압축된 프레임을 미끄러지듯 확장하는(Sliding) 메커니즘을 구성하기 때문에, Folding and Sliding의 메커니즘을 디자인 툴로 이용하고자 합니다.

 To use the carrier as a design tool, I played with the carrier. A total of 8 actions are possible (Up, Expand, Pivot, Fold, Lean, Lean/Up, Slide, Wheel).

 The carrier consists of a total of 9 main parts, such as buttons, handles, length adjustment, locks, frames, wheels, covers, zippers, and seams. In particular, the carrier constitutes a mechanism that unfolds and holds objects and slides the compressed frame. So I want to use the mechanism of Folding and Sliding as a design tool.

시저 메카니즘

시저 메카니즘
Scissors mechanism

1. Mobile Bridge / Hiroshima University

 Ball screw scissors lift를 이용하여 기계를 동작시키는 원리를 가진다. 메카트로닉스 분야에서는 어떤 종류의 제어 기구를 가진 전기 모터 혹은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피스톤과 실린더 기구를 가리킨다.

2. Scissor Lift

 동력 피스톤 작동으로 푸시로드가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작동시켜서 유압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차량 등에서는 제동 장치의 동력원으로 사용된다.

시저 프레임
Scissors frame

 캐리어가 다른 가구적 기능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한 시저 프레임 메커니즘을 적용했습니다. 시저 프레임은 구조나 형태를 해체하지 않고 그 자체를 압축하거나 확장해서 공간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오랜 기간 머무르지 않는 이주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메커니즘입니다. 시저 프레임은 힌지와 각도에 따라 작동하고 폴딩의 움직임과 스트레칭 되는 형태를 구성합니다.

시저 프레임은 접합하는 힌지의 위치에 따라 펼쳐지는 모양이 바뀝니다. 그 펼쳐지는 모양에 따라 벽이 천장이 될 수 있고, 천장이 책상이나 선반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건축과 가구의 경계를 넘나드는 방법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인테리어의 환경 속에서도 건축적 모빌리티의 잠재성을 함께 제안합니다.

 1. It has the principle of operating the machine using the ball screw scissors lift. In the field of mechatronics, it refers to an electric motor with some kind of control mechanism or a hydraulic or pneumatic piston and cylinder mechanism.

 2. It is a device in which the push rod operates the piston in the cylinder to generate hydraulic pressure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piston. In vehicles, etc., it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braking system.

 The mechanism of the scissors frame is applied to the carrier so that It can be used for other furniture functions. Scissors frame is a method of pursuing space efficiency by compressing or expanding itself without dismantling its structure or shape. So It is the most suitable mechanism for migrants who do not stay for long periods.

The scissors frame has a different unfolding shap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hinges to be joined. Depending on the unfolding shape, the wall can become a ceiling, and the ceiling can turn into a desk of shelf. This suggests the potential of architectural mobility along with a way to cross the boundaries of architecture and furniture.

가구적 캐리어
Furnitural carrier

 캐리어가 다른 가구적 기능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한 시저 프레임 메커니즘을 적용했습니다. Linear actuator 기술은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확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줍니다. Linear actuator에 스텝 모터를 사용하였고, 아두이노 코딩은 사용자가 모터의 회전 각도을 제어하여 원하는 길이만큼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가로 또는 세로로 확장 가능한 시저 프레임 캐리어는 환경에 맞게 다른 프레임으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펼쳐지는 프레임의 종류, 길이, 각도에 따라 옷걸이, 옷장, 신발장, 의자, 책상, 침대 등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A scissor frame mechanism is applied so that the carrier can be used for other furniture functions. Linear actuator technology makes scalable systems in the simplest way possible. A step motor is used for the linear actuator, and the Arduino coding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and extend it to the desired length.

 The scissor frame carrier, which can be extend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frame to suit your environment. And depending on the type, length, and angle of the unfolded frame, it can be used as a hanger, wardrobe, shoe cabinet, chair, desk, bed, etc.

가구적 캐리어

시스템 캐리어 조합
Systemic carrier aggregation

 여러 개의 캐리어를 결합하여 구조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12가지 타입을 제안합니다. 건축 구조로 사용되는 이 12가지 타입들은 대지 조건, 공간의 환경,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합·변형됩니다. 그리하여 시저 프레임 캐리어는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가구와 건축 구조의 중간 사이가 됩니다.

 I propose 12 types that can be used structurally by combining multiple carriers. These 12 types used as architectural structures are appropriately combin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the environment of the space, and the needs of the user. The scissor frame carrier thus becomes an intermediate between furniture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that respond in real time.

시스템 캐리어

빌딩 시스템
Building system

 이동 중 거주가 가능하도록 캐리어의 각 부품을 디자인하는 단계에서부터 빌딩 시스템을 함께 고려했습니다. 보관 및 이동 또는 결합을 위해 시저 프레임 캐리어 박스는 가로, 세로, 높이를 같은 배수로 치수를 계획했습니다. 각 부품은 Zip의 홈처럼 결구 방식으로 편한 조립이 가능하고, 이동의 편의를 위해 박스가 절반으로 분리됩니다. 박스의 단면 계획은 설비 파이프가 수직, 수평, 사선으로 지나갈 수 있도록 몸체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홈을 파서 디자인했습니다.

 모서리는 캐리어들끼리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120°, 90°, 60° 조인트로 디자인했습니다. 다양한 각도의 조인트들은 환경 또는 대지에 특징에 따라 확장 또는 분리 가능한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The building system was considered from the start of designing each part of the carrier to be habitable on the go. For storage and transport or bonding, scissor frame carrier box is dimensioned in multiples of equal width, length and height. The cross-section plan of the box is designed by digging a groove in the plate that composes the body so that the equipment pipe can pass vertically, horizontally, and diagonally.

The corner is designed with 120°, 90° and 60° joints for various combinations of carriers. Joints of various angles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 as an expandable or detachable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or site.

프로토타입
Prototype

 다양한 가구적 기능을 하는 캐리어는 더 나아가 같은 구축 논리로써 건축적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건축적 프레임이 온전히 박스에 담기고 프레임과 박스가 펼쳐지는 것이 기본 원리가 됩니다. 그리고 다양한 프레임들이 담긴 건축 스케일의 캐리어들이 구조적으로 결합하여 여러 가지 프로토타입을 만듭니다. 프로토타입에 다른 가변적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공간으로 확장합니다.

 The Carrier with various furniture functions can be further used as architectural elements with the same construction logic. The basic principle is that the architectural frame is completely enclosed in the box, and the frame and box are unfolded. And architectural-scale carriers containing various frames are structurally combined to create various prototypes. And by connecting other frames to the prototype, it expands into a space that suits the user.

 1. 기둥과 지붕의 건축적 요소를 가지는 프로토타입 입이다. 실시간으로 지붕을 확장할 수 있고 대공간을 작은 방으로 구획할 수 있습니다.

 No. 1 is a prototype with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columns and roof. The roof can be extended in real time and large spaces can be partitioned into smaller rooms.

 2. 코어 기능을 할 수 있는 건축 요소입니다. 범위 조절이 가장 쉬운 프레임을 가지고 있으므로 화장실, 계단, 주방 등 상황과 대지의 크기에 따라 개수 조절이 필요한 프로그램을 결합할 수 있습니다.

 No. 2 is an architectural element that can serve as a core function. Since it has the frame that is easiest to range, you can combine programs that requir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size of the site, such as bathrooms, stairs, and kitchens.

 3.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벽을 컨트롤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입니다. 시저 프레임이 천장에서 확장되어 내려오면, 방을 구획할 수 있는 벽이 되고 또는 가구가 될 수 있습니다.

 No. 3 is a prototype that can control the walls that can divide the space. When the scissor frame extends down from the ceiling, it can become a wall that can divide a room or become furniture.

 4. 주차시설과 상점을 구성할 수 있는 일직선 외부 프로토타입 입니다. 프레임이 접힌 형태일 경우, 주차시설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천장에서 바닥으로 프레임이 펼쳐지면 경계를 형성하고 탁상이 만들어져서 외부 상점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No. 4 is a linear exterior prototype that can be configured as a parking facility and a shop. If the frame is folded, it can be used as a parking facility. When the frame is spread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it forms a boundary and creates a tabletop that can be used as an outside shop.

건축적 스케일 캐리어
Architecture scale carrier

 시저 캐리어는 고정된 요소가 아닌 사물·가구·건축의 경계를 넘나드는 모빌리티적 요소입니다. 캐리어가 환경에 반응하여 다양한 가구로 사용되고, 나아가 같은 구축 논리로써 건축적 요소로까지 확장됩니다. 즉, 한 장소에 오래 머무르지 않는 이주자와 시저 캐리어가 함께 다니며 여러 장소에서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게 됩니다. 시저 캐리어는 사물에서 건축까지 연결된 하나의 시스템입니다.

 The scissors carrier is not a fixed element, but a mobility element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objects, furniture, and architecture. The carrier responds to the environment and is used as a variety of furniture, and further extends to architectural elements as the same construction logic. In other words, migrants who do not stay in one place for a long time and the scissors carrier travel together,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grow on their own in several places. The scissors carrier is a system connected from object to architecture.

에필로그
Epilogue

 이동이 가속화되면서,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 또한 빠르게 변화합니다. 특히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구와 인테리어는 소비자들의 성향에 따라 반복적인 짧은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공간의 이용자가 가구와 인테리어를 자기의 성향에 맞게 컨트롤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현재 공간을 경험하고 공감하는 것이 건축보다 가구와 인테리어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건축은 공간을 경험하는 것보다 사용자들의 경계를 나누고 인테리어를 담는 수단으로 변모했습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건축은 어떻게 디자인해야 하는가” 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제 프로젝트는 이주자와 캐리어에서 시작했지만, 건축의 큰 틀에서는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탐구합니다. 기존의 건축 디자인 방법론은 1)도시의 문맥 파악, 2)건물의 매스, 3)실 나누기, 4)인테리어, 5)가구 배치 순으로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계획합니다. 이 방법은 도시 문맥에 맞는 건축은 할 수 있지만, 인테리어와 사물은 마지막에 계획되기 때문에 개인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하지만 제 프로젝트는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의 가장 중요한 사물이 디자인 요소가 되어, 가구와 건축으로 연결됩니다. 이것은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의 작은 변화가 건축의 형태까지 영향을 미치고 컨트롤할 수 있는 건축 디자인 방법론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캐리어라는 작은 사물이 가구와 건축의 경계를 넘나들고 도시까지 연결되는 가구적 건축인 “Carrier Architecture in Motion” 입니다.

전시 사진.jpg

 My project started with migrants and carriers, but explores new design methodologies in the framework of architecture. My project started with migrants and carriers, but explores new design methodologies in the framework of architecture. The existing architectural design methodology plans from large to small in the following order: 1)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urban, 2) building mass, 3) room division, 4) interior, 5) furniture arrangemen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build in accordance with the urban context. However, since interiors and objects are planned last, personal space is relatively unfocused. However, in my project, the most essential things for people who use the space become design elements, which are connected to furniture and architecture. This is an architectural design methodology in which small changes in the people who use the space can influence and control the shape of the architecture.

 As movement accelerates, the people who use the space also change rapidly. In particular, in a capitalist society, furniture and interiors have a short, repetitive cycle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consumers. This means that the user of the space can control the furniture and interior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rtion of furniture and interior is growing more than architecture to experience and sympathize with the current space. Architecture has become a simple means of dividing users' boundaries and containing interiors rather than experiencing space. Therefore, I began to ponder “how should we design the architecture of the future”.

 This project is “Carrier Architecture in Motion”, a furnitural architecture in which a small object called a carrier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furniture and architecture, and finally connects to the Urban system.

Thanks.

  • YouTube
  • Instagram
프로토타입
건축적 캐리어
에필로그
bottom of page